모유수유 장벽 뛰어넘기
모유수유는 시작하는 것보다 계속 실행에 옮기는 것이 더 어렵다. ‘직장으로 복귀해야 해서’, ‘유선염이 심해져서’, ‘아기가 젖을 잘 먹지 않아서’ 등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이유는 무척 다양하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들 역시 모유수유를 중단하는 절대적인 이유는 될 수 없다고 얘기한다.
모유수유를 가로막는 트러블 해결법
유두 동통_ 분만 후 1주일 정도는 수유 중에 특별한 문제가 없는 경우에도 아기가 젖을 먹기 시작하면 짧게, 또는 길게는 수분간 심하게 아플 수 있다. 유두 동통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생길 수가 있는데 젖 물리는 자세가 잘못되었을 때 아픈 경우가 가장 흔하다. 이럴 때는 일단 아기를 젖에서 떼어낸 후 다시 한 번 자세를 바로 잡고 깊숙히 물려보거나 다른 쪽 젖을 빨려본다. 아기가 입 속 가득히 젖을 물지 않고 젖꼭지만 물게 되면 자극에 민감하고 연약한 젖꼭지가 쉽게 통증을 느끼게 된다. 또한 젖이 아픈데도 깊이 물리지 않으면 젖꼭지가 헐고 심한 경우 피가 나오기도 해 계속 젖을 먹이기 힘들어질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아기의 빨기 문제로 생기는 유두 동통은 아기가 제대로 젖을 빨 수 있도록 도와가며 자연스럽게 완화되기를 기다리면 되지만 좀더 빠른 회복을 위해 모유수유 후에 젖을 짜서 유두와 유륜까지 충분히 적셔 잠시 공기 중에 노출시킨 후 속옷을 입도록 한다.
일단 상처가 난 유방은 아기가 열심히 빨 때 아플 수 있기 때문에 수유시 양쪽 젖을 다 먹일 준비를 한 다음 아프지 않은 유방부터 먼저 수유를 해서 사출(배출)반사를 유도하여 젖이 돌게 한 후에 상처가 있는 유방으로 젖을 먹이는 것이 좋다. 이외에 유두 동통을 유발하는 원인으로는 아기의 설소대 단축, 아구창 등이 있다. 유두 동통이 지속된다면 의사와의 상담을 통해 원인을 파악하여 적절히 치료하는 것이 좋다.
유선염_ 유선염은 유방에 세균 감염이 생긴 것을 말한다. 고인 물은 썩는다는 속담과 마찬가지로 유선염은 젖을 제대로 빨리지 않아서 젖이 유방에 고여 있는 상태에서 세균이 자라서 생기는 병으로 주로 울혈이 심한 상태에서 제대로 유방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을 때 생긴다. 유선염에 걸리면 갑자기 유방이 아프면서 38.5℃ 이상의 고열이 생기고, 한기가 들기도 하며, 독감에 걸린 것처럼 온몸이 쑤시고 아프기도 하는데 대개의 경우 한쪽 유방에만 생긴다. 유선염은 갑자기 수유 횟수를 줄이거나, 수유를 빼먹는 바람에 젖을 제대로 비우지 않거나, 유두에 손상을 입거나, 유방 울혈을 제대로 치료하지 않거나, 스트레스나 과로로 엄마의 면역력이 떨어진 경우에 잘 생긴다.
유선염이 생겼을 때에는 무엇보다 의사의 진료를 받도록 해야 한다. 유선염 치료 중이라도 모유수유가 가능하므로 치료와 함께 모유수유를 지속하는 것이 중요하다. 우선 유선염이 생긴 젖을 더 자주, 더 열심히 빨려야 하는데 적어도 두 시간마다 유선염이 있는 쪽 젖을 우선적으로 물리도록 한다. 유선염일 경우 아기가 젖을 먹을 때 젖이 너무 딱딱해서 잘 먹지 못한다면 따뜻한 물수건을 1~2분 정도 가슴에 덮어두었다가 손으로 마사지한 후 아기에게 먹이기를 시도하면 유관이 확장되어 아기가 좀더 수월하게 먹을 수 있다. 아기에게 충분히 수유를 하고도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젖을 짜주도록 하고 짜낸 후에는 찬물 수건으로 덮어두어 열감을 식히고 진정시켜 준다.
임신과 모유수유_ 모유수유를 하는 엄마가 임신을 했다고 해서 모유수유를 중단할 필요는 없다. 엄마가 영양 섭취를 잘한다면 모유수유를 한다고 해서 태아에게 필요한 영양분을 빼앗기지 않기 때문이다. 또 모유수유로 인한 자궁 수축은 대개 태아에게 위험하지 않고 조산의 위험을 증가시키지도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나중에 둘째 아기에게 수유를 할 때 젖의 질이 떨어지는 것도 아니다.
하지만 이전 임신 중에 조산이나 유산을 한 적이 있거나, 현재 조산의 위험이 있거나, 자궁의 통증이나 출혈이 있거나, 임신 기간 중 엄마가 체중이 잘 늘지 않는다면 젖떼기를 고려해야 하므로, 이런 경우라면 모유수유에 대해 잘 아는 소아과 의사나 산부인과 의사와 상의를 해야 한다.